기사 메일전송
유경희 의원, 인천 유기동물 보호 실태 지적… "시 직영 보호소 운영 필요"
  • 기사등록 2025-02-04 17:01:38
  • 기사수정 2025-02-05 22:08:27
기사수정

인천시의회 유경희 의원(부평구 부평2·5·6동, 부개1동, 일신동) 

                                 


인천시의회 유경희 의원(부평구 부평2·5·6동, 부개1동, 일신동)이 4일 열린 본회의에서 인천시 유기동물 보호소의 열악한 환경을 지적하며, 시 차원의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유 의원은 최근 언론보도를 언급하며 "인천수의사회가 위탁 운영하는 유기동물보호소에서 많은 동물들이 낡고 비위생적인 환경에 방치돼 적절한 치료도 받지 못한 채 죽어가고 있다"며 "실태를 바로잡기 위해 시가 직접 보호소를 운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유기동물 보호소, 동물 감옥소 수준"

유 의원이 제시한 사례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건강한 상태로 입소한 시베리안허스키가 보호소에서 급격히 건강이 악화되었고, 봉사자들의 치료 요청에도 불구하고 방치된 끝에 올해 1월 5일 숨진 채 발견됐다.


자원봉사자들은 "동물들이 매서운 추위 속 야외에 방치돼 죽어가지만, 치료 한 번 제대로 받지 못하고 있다"며 "보호소가 개지옥보다 더 열악한 환경"이라고 증언했다.


자연사율 42%… "유기동물 보호 실태 심각"

인천수의사회 유기동물보호소는 옹진군, 연수구, 미추홀구, 남동구 등 4개 군·구에서 유기동물 보호 업무를 위탁받아 18년간 운영 중이다.


매년 1,500여 마리의 동물이 입소하지만, 이 중 42%가 자연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접수된 보호소 관련 민원 34건 중에는 △안락사 시 마취제 미사용 의심 △냉난방기 미설치 △구더기 발생 △철창 노후화 △빗물 고임 등 열악한 시설과 환경 개선을 요구하는 내용이 다수 포함됐다.


유 의원은 보호소를 방문한 자원봉사자들의 증언을 전하며 "작은 동물들이 이곳에서 임신을 하거나, 큰 동물에게 공격당해 심각한 부상을 입는 경우가 빈번하지만, 치료조차 제대로 받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비상주 수의사 1명… 즉각 치료 어려워

현재 보호소의 운영 인력은 △비상주 수의사 1명 △포획·구조 3명 △보호 담당 3명으로 총 7명에 불과하다.


유 의원은 "연간 1,500여 마리의 유기동물이 입소하는 보호소에 전문가가 단 한 명도 상주하고 있지 않다"며 "아프고 다친 동물들이 많지만 즉각적인 치료가 불가능한 현실"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보호소 내 위생 문제도 심각하다고 전했다. "똥밭에서 자고, 쥐가 출몰하는 곳에서 생활하며, 칼바람이 부는 야외견사에서는 물이 얼어 동물들이 물조차 제대로 마시지 못하고 있다"며 "이대로라면 동물들이 얼어 죽고, 병들어 죽는 참상이 계속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인천시 직영 보호소 운영 필요"… 유기동물 보호 대책 촉구

유 의원은 유정복 인천시장에게 "자원봉사자들의 노력만으로는 열악한 보호소 환경을 개선할 수 없다"며 유기동물 보호소 관리·감독 강화 및 운영 방식 변경을 촉구했다.


그는 "다른 6개 군·구처럼 수의사가 상주하는 동물병원에서 유기동물을 관리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며 "동물보호 관리 단가를 인상하고, 시설 환경 개선비를 지원해 군·구 동물병원들이 적극적으로 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유기동물 보호소의 인천시 직영 운영 필요성을 강조했다.


유 의원은 "직영 보호소를 운영하면서 상주 수의사를 배치해야 유기동물들이 적절한 보호와 치료를 받을 수 있다"며 "시가 직접 나서 유기동물 보호 환경을 개선해 달라"고 강력히 요청했다. [인천=김주성기자]heraldgyeongin@gmail.com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5-02-04 17:01:38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헤럴드경인포토더보기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생활 속 안전 위험요소 안전신문고로 신고해주세요!
  •  기사 이미지 인천시, 전국 최초 3년 연속 지자체 혁신평가 최우수 기관 선정
  •  기사 이미지 2025년 3월 시행 인천광역시 마을행정사 운영 안내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