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6일 전국 단위 총파업에 동참하면서 일부 학교에서 급식 및 돌봄 서비스에 차질이 발생했다.
전국교육공무직본부 인천지부는 이날 인천시교육청 앞에서 총파업 대회를 열고, “지난달 22일 사용자 측과의 실무 교섭 이후 추가 교섭을 요구했으나 교육당국의 거부로 교섭이 중단됐다”며 파업에 나선 이유를 밝혔다.
인천 내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 약 1만 1,000명 중 1,200여 명이 파업에 참여했다. 특히 급식 관련 종사자 3,195명 중 895명(28%)이 파업에 동참하면서, 전체 505개 학교 중 177곳(35%)에서 급식이 중단됐다.
급식이 중단된 학교에서는 빵이나 우유 등 대체식이 제공되고 있다.
또한 초등 돌봄 전담사 파업으로 인해 259개 초등학교 중 1개 학교(3개 돌봄 교실)에서 돌봄 서비스가 일시 중단됐다.
'차별 없는 근로 환경 요구' 파업에 참여한 노동자들은 “최저임금 수준의 기본급과 정규직과의 임금 격차, 차별적인 복리후생 문제”를 지적하며, ▲기본급 인상 ▲정기상여금 100만 원에서 150만 원으로 인상 ▲직무보조비 5만 원 지급 등을 요구하고 있다.
이들은 “오래 일할수록 정규직과 임금 격차가 더 벌어지고, 기본적인 복리후생조차 차별받는 현실에서 더 이상 참을 수 없다”며 강력한 교섭 재개를 촉구했다.
인천시교육청 관계자는 “파업 참가자 수를 집계 중이며, 학생들의 학습권 침해와 학부모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대체 급식과 돌봄 서비스 운영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교육 공무직 노동자들의 근로 환경 개선과 복지 확대 요구가 이번 파업의 주요 쟁점으로 떠오른 가운데, 교육당국과의 교섭 재개 여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