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주성 기자
▲유정복 인천광역시장
인천시의 정치적 대립이 한층 격화되고 있다. 국민의힘 소속 유정복 인천시장과 더불어민주당 간의 갈등이 인천시의회 여야 간 대리전으로 확산되며, 내년도 인천 정치 지형의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이는 유 시장의 발언에 대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의 비판에서 비롯된 갈등이 시의회 차원으로 확대된 결과다.
지난 25일과 26일, 국민의힘 소속 인천시의회 의원 25명은 시의회 회의실에서 의원총회를 열고 갈등에 대한 구체적인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특히, 이번 회의에서는 강경한 대응 방안과 성명서 채택 여부가 주요 의제로 다뤄졌다. 임춘원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의원총회에서 구체적인 논의가 이루어질 것"이라며 향후 대응 방안 확정의 의지를 밝혔다. 국민의힘 A 시의원은 "유 시장이 민주당 시의원들의 공격을 받았는데 가만히 있을 수 없다"며 강경 대응을 예고했다.
갈등은 지난 17일 민주당 소속 시의원들이 유 시장의 SNS 발언을 비판하면서 시작됐다. 민주당은 유 시장이 "민주당과 이재명 대표를 비난하며 본질을 왜곡하고 있다"고 성토했다. 이에 유 시장은 "국정 혼란의 중심에는 민주당과 이재명 대표가 있었다"고 반박하며 갈등의 불씨를 키웠다. 이후 고남석 민주당 인천시당 위원장도 "협치를 강조하던 유 시장이 하루아침에 모든 혼란의 책임을 야당 대표에게 전가하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며 비판에 가세했다.
현재 국민의힘 소속 유 시장과 인천 지역 국회의원 14명 중 12명을 차지하는 민주당 간의 소통 창구는 사실상 단절된 상태다. 이에 따라 주요 지역 현안 해결과 국비 확보를 위한 여야 협력도 난항이 예상된다. 이번 국민의힘 시의원의 의총 결과에 따라 협치의 틀이 완전히 붕괴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국민의힘 내부에서도 갈등을 둘러싼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B 시의원은 "민주당은 유 시장을 비판한 것이지 시의회를 공격한 것이 아니다. 왜 시의회가 나서서 유 시장을 보호하려는지 이해하기 어렵다"며 신중한 접근을 촉구했다. 반면, 강경파는 "모든 정치적 판단은 철저하게 당론에 따라 행동할 것"이라며 협치 중단을 선언했다.
26일 의총에서 결정된 강경 대응 방침은 인천시의 정치와 정책 결정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힘 의원들은 민주당과의 협치를 중단하고, 독자적으로 시정 운영을 추진할 계획임을 밝혔다. 이는 인천시 주요 현안 해결 과정에서 여야 간의 긴장과 대립이 더욱 심화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번 사태가 인천시 정치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귀추가 주목된다. 앞으로 여야 간 갈등 봉합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지, 아니면 협치 없는 대립이 지속될지 시민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인천 = 김주성 기자
heraldgyeongin@gmail.com